서울 독립 영화제
'대학로에서 매춘하다가 토막 살해당한 여고생 아직 대학로에 있다'
영화는 제목 자체에서 느껴지는 바와 같이 잔인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독립영화가 그러하듯, 그 잔인함 속에 얘기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분명히 전달된다 . 대략의 줄거리는 제목 그대로다. 대학로에서 단 돈 3만원에 몸을 파는 여고생이, 매춘의 현장을 담임선생님에게 들키게 된다. 하지만 여고생은 담임에게도 5만원에 몸을 팔아 퇴학을 면한다.
영화 자체가 이거 심하게 ‘싸이코스럽다’라는 생각이 매우 자연스럽게 들 정도로 ‘억’소리 난다.
담임과의 잠자리 후, 스크린 밖 관객들에게 “별 거 아닌 내 꿈 좀 들어줘요” 라는 듯 아름다울 정도로 처연하게 여고생은 말한다.‘오빠(담임선생님)’와 함께 오늘 밝은 달 아래 임신한 그들의 아기와 함께 행복하게 살고 싶다고. 여고생의 꿈이었던 ‘오페라 가수’가 된 딸의 공연을 ‘오빠’와 함께 보러 가는 상상을 한다.
하지만 그녀의 달콤한 상상도 잠시, 여고생은 담임선생님에 의해 어처구니 없게도 총살 당한다. 게다가 담임의 똘마니들에 의해 여고생의 시체는 잔인하게 난도질 당한다. 토막 난 시체는 정체불명의 사내에 의해 한 노파의 재봉틀로 다시 태어나지만, 그녀는 이미 사람이 아닌, 암살머신으로서 기능하는 인조인간에 불과하다.
영화는 말하고 있다
이들의 웃음이 의미 하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몇 만원에 자신의 성을 팔 수 밖에 없는 여고생과 그로 인해 담임 선생의 아이를 가지게 됐다는 것. 하지만 담임선생은 학교에서 교장으로 승진할만큼 사회적으로 보여지기엔 아무런 문제가 없고, 비단 어떤 문제를 떠나 인텔리 지식층이 가지는 사회적 위
나는 영화를 전문적으로 보고, 평가하는 사람은 아니기에 이것의 영상이나 제작과정에서 인정할만한 어떤 것도 지적해내지 못하지만, 이 영화가 내가 앞서 말했던 사회적 현실을 얼마나 리얼하게 보여주었는지를 놓고 보았을 때 나는 이 영화에게 제법 후한 점수를 주고 싶다. 아직도 악마스러운 그들의 웃음이 뇌리를 떠나지 않는다.
ps. 왠만하면 청소년들, 혹은 이 더러운 사회의 밑바닥을 굳이 들춰내 보고 싶지 않은 사람들에게 이 영화를 추천해주고 싶지는 않다.
'특집 > 서울독립영화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 여자친구들에게 보내는 뒤늦은 연애편지다" - <은하해방전선> GV현장 (0) | 2007.12.02 |
---|---|
재기발랄한 '연애이야기', <은하해방전선> (0) | 2007.12.02 |
"할머니 고생하셨어요. 다음 세상에는 마음 편히 사세요" (0) | 2007.11.29 |
'이게 바로 독립영화의 힘', 독립영화인의 밤에 다녀왔습니다. (4) | 2007.11.27 |
"독립영화, 재밌습니다." (1) | 2007.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