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집/서울독립영화제

"옛 여자친구들에게 보내는 뒤늦은 연애편지다" - <은하해방전선> GV현장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은하해방전선] 출연배우들과 감독




지난달 27일(화) 밤, 서울독립영화제가 열리는 명동 인디스페이스(중앙시네마 3관)는 관객들로 꽉 차 있었다. 그날의 마지막 상영작인 <은하해방전선> 때문이었다. 표는 일찌감치 매진되었고, 일부 열성적인 관객들은 영화제 관계자의 양해를 구하고 서서 관람하기도 했다. 영화가 끝난 후, 윤성호 감독과 출연배우들이 스크린 앞에 섰다. 곳곳에서 손을 들어 질문하기 시작했다.


Q. 첫 장편이다. 어떻게 기획하게 되었나.

A. 본말이 전도된 양상이 있는데 (웃음) 제작비(1억 원)를 지원받았고, 12회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에 맞춰 출품해야 했다. ‘주어진 예산과 계절’에 맞추어 내가 제일 잘 할 수 있는 이야기를 찾았다. 그래서… ‘연애이야기’를 하게 된 것이고. (웃음)


Q. 사회비판적인 장면이 종종 나온다.

A. 그런 장면들이 이 영화에서는 온전히 ‘2007년을 드러내는 공기’로 쓰였다. 사회를 비판하려는 목적이 <은하해방전선>에서는 없다. 프로파간다를 별로 좋아하지도 않고. 영재라는 캐릭터를 잘 살리기 위한 정치적 수사로 봐 주면 좋겠다.


Q. 영재가 실어증에 시달리는 장면묘사가 인상적이었다. 혹시 무성영화를 만들 계획은 없는가? (웃음)

A. 재미있는 생각인데, 사실 영화 속에서 보이는 무성영화스러운 장면들도 엄밀한 의미의 ‘무성영화’는 아니다. 기본적으로 구스 반 산트 영화처럼, 말이 적고 이미지로 채워진 영화를 더 좋아하긴 한다. 말 많은 영화는… 내 영화로도 벅차다. (웃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은하해방전선] 윤성호 감독




Q. 각자가 뽑는 ‘명장면’을 말해줄 수 있을까.

A. (박혁권) 영화제 GV시간의 ‘소통 장면’이 아무래도…(폭소. 주 : 영화를 보면 이유를 알 수 있다.)

(윤성호 감독) 사실 자기자랑을 말하는 게 참 쑥스러운 일이다. 다만, 이 영화는 지금까지 내가 사귀었던 여자친구들에 대한 ‘뒤늦은 연애편지’로 볼 수 있다. 그래서 민망하지만, 나는 지금도 영화를 볼 때마다 혼자 글썽거리며 생각한다. “잘할 걸.”


Q. 후반부, 영재와 은하가 메신저로 채팅을 할 때 서로의 닉네임이 인상적이었다.

A. 영재의 닉네임(‘2000년에 25살이었던 영재’)은 <2000년에 25살이 되는 요나>라는 스위스 영화 제목에서 따 왔다. 이 영화 강추한다. 76년에 만들어진 영화인데, 스위스의 ‘88만원 세대’를 예고한 영화라고 볼 수 있다. 꼭 보길 바란다. (웃음) 은하의 닉네임(‘하루 10분씩 코펜하겐식 이별 연습)은 내가 이전에 만든 영화 제목에서 따 왔다. <하루 10분씩 그냥 들여다보기만 해도 코펜하겐식 이별 실력이 부쩍 느는 비디오>라는 단편이다.


Q. <은하해방전선>에는 ‘영화’와 ‘연애’가 큰 관계가 있는 듯하다. 배우들이 생각하는 영화와 연애의 비슷한 점은 무엇일까?

A. (임지규) 제 입장에서 설명하자면, 부족함이 많은 나 같은 배우는 이런 실수를 많이 한다. ‘내 연기하기에 바쁜 것’. 아무리 혼자 연기를 잘 해도 앙상블이 안 되면 좋은 연기가 아니다. 연애도 마찬가지 아닐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부터) 주연배우 서영주, 임지규



Q. 실어증에 걸린 영재를 연기하는데 어려움은 없었나?

A. (임지규) 설정은 실어증이지만, 내레이션을 포함해 대사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저번 영화 <저수지에서 건진 치타>에서는 왕따 역을 맡아 대사가 거의 없었는데, 이렇게 많은 대사가 주어진 적은 처음이었다. 대사가 많은데다, 사회적 사안을 자연스럽게 얘기하는 캐릭터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도 힘들었다. 한-미 FTA나 스크린 쿼터에 대해 얘기하는 대사들은 짧지만, ‘이해하고’ 연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감독님께 하나하나 질문하면서 이해할 수 있었고, 그때서야 연기할 수 있었다.